GitHub의 원격 저장소와 연동하여 백업할 수 있다.
'git remote add origin GitHubURL' 명령을 통해, 해당 깃헙과 현재 컴퓨터를 연동할 수 있다. origin은 저장소의 별명과 같은 것인데 관습적으로 origin을 쓴다. 'git remote' 명령을 통해 연동된 원격 저장소의 별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, 'git remove -v' 연결된 저장소의 주소까지 함께 확인할 수 있다.
원격 저장소와 연동한 뒤, 'git push'를 통해 현재 컴퓨터(a)의 자료를 원격 저장소로 백업할 수 있다. 처음 푸쉬하는 경우에는 '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master'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, 이는 기본 설정에 관한 것으로, 이후로는 git push를 입력할 때,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origin이라는 별명을 가진 원격 저장소의 master branch로 업로드 된다는 의미이다. 그대로 한 번 더 입력하여 설정을 완료하면 된다. 다른 컴퓨터(b)에서 원격 저장소의 자료를 가져올 때는, 'git clone GitHubURL' 명령을 통해 가져올 수 있다. 이를 통해 컴퓨터 b에 원격 저장소를 복제한 지역 저장소가 만들어지고, 컴퓨터 a에서 작업한 것을 'git pull' 명령을 통해 가져올 수 있게 된다. 컴퓨터 b에서 원격 저장소에서 자료를 가져와 작업을 진행한 후 원격 저장소에 백업하는 과정은 git pull > 작업 > 작업 완료 > git commit > git push라고 할 수 있겠다.
'git' 명령을 통해 사용 가능한 깃의 명령어들을 확인할 수 있다.
[Git] 3-way merge (0) | 2021.04.20 |
---|---|
[Git] Merge (0) | 2021.04.18 |
[Git] Branch (0) | 2021.04.17 |
[Git] Git 명령어 (0) | 2021.04.16 |
[Git] Repository 생성 (0) | 2021.04.13 |
댓글 영역